사내 프린터로 출력한 자료, 방치하면 생기는 보안 리스크
– 출력은 끝이 아니다. 치우기 전까진 ‘기록’으로 남는다서론:회사에서는 하루에도 수십 장, 많게는 수백 장의 문서를 출력한다.기획안, 보고서, 회의자료, 제안서, 고객리스트, 계약서 등모든 자료가 한 번쯤은 프린터를 거친다.그런데 우리는 자주 잊는다.출력은 끝이 아니라, 시작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.출력 후 그대로 프린터 위에 올려둔 문서 한 장이내부 정보 유출, 보안 사고, 인사 감사의 단서가 될 수 있다.이 글은 직장인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사내 프린터 출력물 방치로 생길 수 있는 문제점들과실제로 발생한 사례, 그리고 사전에 막는 방법까지 정리했다.1. 프린터 출력물은 ‘보안 사각지대’다사내 프린터는 대부분 공용이다.그 말은 곧, 누구나 접근할 수 있고, 누구나 볼 수 있다는 의미다.📌 출력물에 흔..
2025. 7. 28.
회사 퇴사 후 사내 자료 보관 시 법적 책임 가는 기준
– “그거 내 거예요”가 통하지 않을 때서론:퇴사하고 나면 대부분은 깔끔하게 떠난다.그런데 어떤 사람들은,회사에 있을 때 만들었던 PPT, 기획안, 데이터 등을“이건 내가 만든 거니까”라는 생각으로USB나 클라우드에 따로 저장해 둔다.문제는 이 자료들이 퇴사 후에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.회사에서 만든 자료는, 만든 사람이 아니라 ‘회사 소유’로 간주된다.특히 해당 자료가 고객정보, 사업계획, 재무자료와 관련돼 있다면퇴사 후에도 법적으로 책임을 물을 수 있다.이 글에서는 직장인이 퇴사 전 꼭 알아야 할사내 자료의 소유권 기준, 보관 시 처벌 사례,그리고 자료 정리 시 주의사항을 실제 사례 중심으로 정리했다.1. 회사 자료 = ‘회사 자산’이다회사에서 만든 문서, 설계도, 매뉴얼, 보고서 등은개인이 만..
2025. 7. 27.